본문 바로가기
현실적 직장생활 꿀팁

"이 회사, 괜히 들어왔나?" 입사 후 후회한 적 있는 사람

by 꿀팁 컨트롤러 2025. 4. 15.
반응형

😓 "이 회사, 괜히 들어왔나?" 입사 후 후회한 적 있나요?

요즘 2030 세대 사이에선 직장 선택이 인생의 방향을 좌우한다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이들이 월급, 네임드, 복지만 보고 회사를 선택합니다.
입사 후 “이럴 줄 알았으면 지원 안 했을 텐데…”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경우도 많죠.

그래서 오늘은 후회 없는 직장 선택을 위한 7가지 핵심 기준을 소개합니다.

후회 없는 직장 선택을 위한 7가지 핵심 기준

이 글은 잡플래닛, HRD 연구자료, 한국고용정보원 보고서 등을 참고해 정리한 신뢰 기반의 정보입니다.

1. 성장 가능성 있는 산업군인가요?

회사는 개인의 성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고용노동부의 2024 산업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AI, 친환경 에너지, 헬스케어, 반도체, SaaS 분야는 향후 10년간 지속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됐습니다.
즉, 지금 입사하는 회사의 산업군이 10년 뒤에도 살아남을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안정성 있는 기업을 선택하는것이 좋습니ㅏㄷ. 

2. 대표와 팀장의 마인드는 어떤가요?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일수록 대표가 곧 기업문화입니다.
직원 복지를 강조하면서 실제론 주말 연락, 무리한 야근을 당연시하는 곳은 피해야 합니다.
면접 시 리더의 말투, 질문 방식에서 많은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면접은 회사가 날 평가하는 자리이기도 하지만, 내가 회사를 평가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반드시 꼼꼼이 체크해보세요

3. 연봉과 복지보다 중요한 건 '일의 구조'

연봉이 아무리 높아도 업무 프로세스가 엉망이면 업무 스트레스로 번아웃 되기 쉽습니다.
협업 체계, 보고 방식, 업무 도구 등을 미리 파악하세요.
잡플래닛에서 전/현직자의 후기를 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후기가 좋지 않으면 다 이유가 있을것입니다. 간혹 인사팀에서 직원들에게 요구해서 작성하는경우도 있으니

주의깊게 체크해보기 바랍니다. 

4. 커리어 성장에 도움이 되는가?

단순 반복 업무만 하는 곳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신기술 도입이 활발한 곳은 다릅니다.
특히 20~30대에는 다양한 경험과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기회가 커리어를 좌우합니다.
1년 후 이직 시 포트폴리오에 쓸 만한 성과가 있는가?를 기준으로 보세요.

5. 직장 내 의사소통 방식은 수평적인가요?

보고 체계가 수직적이고 위계적인 회사는 소통이 단절되어 있고, 아이디어 반영도 힘든 구조일 수 있습니다.
반면, 피드백 문화가 활발하고 투명한 회의가 이뤄지는 곳은 개인 성장이 빠릅니다.

6. 이직률은 얼마나 되는가?

이직률이 높은 회사는 뭔가 문제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잡플래닛, 블라인드 등을 통해 평균 근속연수, 퇴사율을 파악하세요.
한 해에 30~40% 이상이 교체된다면 '빨간불'입니다.

7. 평판과 실제 문화는 일치하는가?

“사람 좋다더니 지옥이네”… 겉으로 보이는 문화와 실제가 다른 곳도 많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전 직장인 리뷰 등을 참고하되, 복수의 출처에서 교차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에게 맞는 회사”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요즘은 대기업, 스타트업, 공기업 등 어디든 장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건 “나의 성향과 커리어 방향에 맞는가?”를 먼저 보는 것입니다.
이 7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회사 선택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본다면, 후회 없는 선택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